북부조국의 핵융합기술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2,797회 작성일 16-02-09 14:09

본문

핵융합기술을 실용화 하여 소형 수소폭탄을 만들고, 미국의 심장을  겨누는 

사정거리 13,000 Km ICBM 으로  <광명성 4호 >위성을 궤도에 올려놓고, 
SLBM 사출성공을 공개한 마당에 , 

" 우리영토를  0.1 mm 라도 침범하면  침략자 에게 불바다를  안겨주겠다" 는 
경고가 빈말이 아닌 줄 깨달았을 만도 하다.
  
미군은 전쟁연습 걷어치우고  팜문점에 나가서 평화협정에  서명하고 우리강토 에서 물러가는 것이 현명하다.    선제공격에 대비한 전국 지하요새  와 바다밑 에는 무진장한 반격무력이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고 섯부른 짓을 말지어다.  
리민족은  기필코  평화통일을  이룩하고 무궁 번영할 것이다.  Inline image 1

유 동성 회원님의 글을 복사하여 옮겼습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Inline image 2

[영상대담] 북 과학자, 핵융합기술은 국가비밀
 
 
 
이창기 기자 icon_mail.gif 
기사입력: 2016/02/06 [08:31]  최종편집: ⓒ 자주시보
 
 

 

 

   http://lck6150.blog.me/220619987591 

 

잊을만 하면 연구개발에서 성과가 있었다며 세인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곤 하는 북의 핵융합기술개발 과연 어디까지 왔을지 궁금했는데 아마 그 자세한 결과를 알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북의 국가과학원 참사실장 리문호 박사는 북이 핵융합기술개발을 적극 추진하고 있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지만 국가비밀 사항이라 자세히 말할 수는 없다는 입장을 대북투자사업을 추진 중인 모 재미교포와의 대담에서 밝혔다.

 

그는 대담에서 수력발전소도 이제 건설할 곳은 거의 다 했고 화력발전도 비용이 많이 들고 탄소배출이 많아 재생 가능한 청정에너지를 적극 개발하고 있다고 강조하면서 핵융합이 무진장한 바닷물의 수소를 이용하기 때문에 지구가 존재하는 한 고갈될 염려가 없어 가장 최선의 전기에너지 생산방식이라고 지적하고 현재 국제적인 핵융합 기술 개발 현황에 대해서만 요약 분석한 후 화제를 다른 방향으로 돌렸다.

 

이번 대담에서 리문호 박사도 언급했듯이 북은 98년과 2010년 방안온도에서의 핵융합에 성공했다는 노동신문 보도를 내놓은 바 있고 이후 개인필명의 언론보도문에서 북의 독자적인 토카막방식 중 플라즈마집초방식으로도 성과를 거두었다고 언급한 바 있다. 특히 관련 보도에서는 북의 토카막은 제작비용이 매우 싸고 효율이 높다고 지적했었다. 

 

추천 0 비추천 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2016-2017 KCNCC(Korean Canada National Coordinating Council). All rights reserved

E-mail : kcncc15@gmail.com